- 과정 소개
- 과정 커리큘럼
- 실제 수강 후기
특강 개요
- 가설검정 기법들의 통계적 결론을 위해 전제조건으로 충분한 표본개수가 취해졌을까? 너무 적게? 아님 너무 많이??
- 검출력(Power), 유의수준(Significance level), 실질적 차이(Difference=effect size), 변동성(Variability), 그리고 표본의 크기(Sample size)들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올바른 표본크기 결정에 활용할 수 있다.
- 엑셀이나 기타 통계 소프트웨어들을 사용해서, 다양한 비즈니스 상황, 특히 연구실험의 경우,에서 요구되는 최소한의 표본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.
강의 대상
- 가설검정(비교분석)에 대한 통계적 결론을 위한 최소 표본크기에 대한 개념과 해석 능력이 필요한 사람
- 실무에서 변경점 관리 또는 데이터 비교 분석에 관련 종사하는 사람
- 신제품 개발 엔지니어 / 공정엔지니어 / 재료엔지니어 / 품질엔지니어 등등.
이 과정을 마치고 나면 :
- 다양한 연구실험, 변경점 관리 등 다양한 상황에서 필요한 최소 표본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.
- 표본에 의해 가설검정을 수행하고 결론을 내릴 때, 표본크기와 결론과의 관계를 이해함으로서 합리적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수립할 수 있다.
- 일반적인 변경점 관리 디자인에 사용되는 기준 가이드를 설정할 수 있다.
워밍업: 기본 용어 정리
표본크기와 검출력@JMP
-
51표본 평균 (One Sample Mean) – 상황별 표본크기 결정하기22분
-
62표본 평균 (Two Sample Means) – 상황별 표본크기 결정하기13분
-
7k표본 평균 (k Sample Means) – 상황별 표본크기 결정하기14분
-
81표본 표준편차 (One Sample STDev) – 상황별 표본크기 결정하기11분
-
91표본 비율 (One Sample Proportion) – 상황별 표본크기 결정하기28분
-
102표본 비율 (Two Sample Proportions) – 상황별 표본크기 결정하기12분
-
11단위 당 갯수 (Counts Per Unit) – 상황별 표본크기 결정하기14분
-
12시그마 품질 수준 (Sigma Quality Level) – 상황별 표본크기 결정하기07분
-
13무결점 표본추출 (Zero Defect Sampling) – 상황별 표본크기 결정하기15분